
– 금속·사출·절삭·용접 중심의 설비 조건과 투자 기준
공장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유형이 바로 기계가공형 공장입니다.
자동차 부품, 금속 가공, 프레스, 사출, 절삭, 용접, CNC 가공 등 수많은 제조업의 출발점이자,
대한민국 제조산업의 뿌리를 형성하는 핵심 분야입니다.
하지만 이 공장은 단순한 “빈 창고”가 아닙니다.
설비 가동을 위한 전력, 하중, 방음, 배기 구조 등 특수 조건이 갖춰지지 않으면
사실상 '공장'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
기계가공형 공장이란?
기계가공형 공장이란 주로 물리적 기계장비를 통해 원자재를 절삭·변형·성형·가열하는 공장 유형입니다.
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업종이 포함됩니다:
- 금속가공 및 철재 프레스
- 사출성형 (플라스틱, ABS, PP)
- 용접 공정 (알곤, CO2, 스팟 등)
- 선반·밀링·CNC 절삭 가공
- 중장비 수리 및 부품 생산 공정
이들은 모두 ‘기계적 마찰’이나 ‘열·압력’을 기반으로 하며, 결과적으로 소음·열·분진·진동이 수반됩니다.
따라서 임대 또는 신축 시 설비 조건이 갖춰져야만 정상 가동이 가능합니다.
관련 글 더보기
기계가공형 공장의 핵심 설비 요건
1. 강한 전력 인입 (3상 전기 필수)
기계는 대부분 3상 전기를 사용합니다.
사출기, CNC, 프레스, 절곡기 등은 220V 일반 전기로는 작동 자체가 불가능합니다.
- 기본 50~100kW 이상 계약 전력 필요
- 트랜스(변압기) 용량 확보 필수
- 전기실 위치와 배선 구조 확인
⚠️ 많은 공장이 임대 시 “3상 있음”이라고 표기하나, 실제 공급 가능한 전력량은 낮을 수 있습니다.
반드시 계약 전 사용 가능 전력(kW)을 서면 확인받아야 합니다.
2. 바닥 하중(하중강도)
기계는 무겁습니다. CNC 1대에 3~5톤, 프레스는 수십 톤이 되기도 합니다.
그렇기 때문에 바닥은 하중을 버틸 수 있어야 하며, 특히 2층 이상 공장은 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됩니다.
- 지상층 기준 1㎡당 1.5~2톤 이상 하중 확보
- 기계 하중 집중 부위는 보강 시공 필요
- 중량물 이동 경로에 리프트·호이스트 연계 여부 확인
3. 소음·진동 대비 구조
기계가공은 소음이 크고 진동이 동반됩니다.
특히 프레스나 절곡기, 절삭기는 소음진동 민원이 잦은 설비입니다.
- 벽체 방음 처리 (흡음재, 차음벽 등)
- 작업공간과 사무공간 분리
- 공장 지붕·벽체 진동 전달 방지 시공 고려
4. 열기 및 배기 시스템
사출, 용접, 가열식 설비는 상당한 열기를 발생시킵니다.
여름철에는 실내 온도가 40도 이상 올라가기도 하며, 배기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질식사고나 근로자 건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.
- 천정 높이 5m 이상 확보 권장 (열기 체류 방지)
- 열풍 배출용 후드 및 배기덕트 확보
- 작업구역별 환기팬·흡기 시스템 분리 필요
실제 현장에서 보는 필수 시설 예시
| 전력 | 3상 220~380V / 50kW 이상 | 기계 수에 따라 트랜스 증설 필요 |
| 하중 | 1㎡당 1.5톤 이상 | 2층일 경우 구조 검토 필수 |
| 층고 | 4.5m 이상 | 열기 배출 + 기계 높이 고려 |
| 소음 | 흡음벽 + 작업공간 이중 구조 | 인근 민원 방지용 |
| 냉방 | 작업구역별 산업용 송풍기 필수 | 에어컨은 비효율적 |
| 화재 | 소방방재 설비 사전 승인 필요 | 용접·가열 시 강화됨 |
기계가공형 공장 투자 시 체크리스트
- ✅ 입주 업종 확인: 단순 가공인지, 고압 설비 포함인지 파악
- ✅ 전력 인입량 확인: 3상 전력 계약 가능량 서류 확인
- ✅ 바닥 하중 구조 확인: 구조 계산서 또는 시공내역 확보
- ✅ 배기·환기 시스템: 후드·덕트 유무와 상태 확인
- ✅ 주변 민원 가능성: 인근 주거지 여부, 소음 민원 이력 확인
용도지역과 기계가공 공장의 입지 적합성
기계가공형 공장은 소음, 진동, 분진, 열기 등 환경 영향을 주는 시설이기 때문에
법적으로 다음과 같은 용도지역에서 주로 허용됩니다.
- 공업지역(일반공업, 전용공업): 제한 없이 가능
- 계획관리지역: 제조시설 가능하나 입지심의 필요
- 생산관리지역: 일정 조건 충족 시 일부 가능 (위험도 따라 제한)
- 주거지역: 대부분 불가, 단 도시형생활주택 내 일부 소형 설비 가능
마무리 정리
기계가공형 공장은 단순한 창고 임대가 아닙니다.
전기, 층고, 바닥, 배기, 소음 등 최소 5가지 설비 조건이 맞아야 제대로 된 공장 운영이 가능하며,
이 조건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실제 입주 후 큰 비용을 들여 보완 공사가 필요해집니다.
✅ 투자자라면: 매입 전 업종 매칭 + 전력·하중 구조 실사는 필수
✅ 실사용자라면: 설비 배치 도면을 기준으로 설비 환경을 점검해야
✅ 중개인이라면: 단순 평수/임대료만 아니라 업종-설비 적합성까지 안내해야 진짜 전문가입니다.
관련 글 더보기